국내MBA/연세·카이스트·성균관·국내MBA

[카이스트경영전문대학원] KAIST MFE 카이스트 금융공학석사 2021년 입학지원일정/입학지원조건/학비 및 국내대학원 입학수속 컨설팅 안내

반달곰원장/자유영혼 2020. 8. 30. 22:01

2020년 8월 마지막주 북한산 향로봉에 오른 반달곰원장

 

 

KAIST College of Business MFE

 

 

 

 

안녕하세요. 반달곰 원장입니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금융시장은 자금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을 통틀어 말하며, 주식, 채권, 원자재 등의 현물 시장과 선물 및 파생상품 시장 등을 의미합니다. 금융공학은 수학적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금융시장을 분석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금융공학의 용도는 크게 두가지로 분류된다고 하는데, 하나는 은행이나 보험사 등의 금융기관에서 금융상품을 개발하는 목적이고, 다른 하나는 금융시장에서 수학적인 분석 방법으로 수익을 내기 위한 투자목적으로 분류됩니다.

 

 

 

이런 분야를 전문적으로 공부해서 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과정이 있어 소개하려고 합니다. 카이스트 경영대학원에서 개설된 과정 중에 금융공학 석사 과정이 있는데요. 이는 금융공학, 계량적 자산운영에 특화된 2년 전일제 석사 과정입니다. Master of Financial Engineering이라고 하는 금융공학석사 과정은 연구 능력이 구비된 국제적 금융공학 현장 전문 인력을 양성합니다. 2년이라는 학습 기간 동안 계량적 자산운용 (퀀트 투자), 채권, 파생상품 및 리스크 매니지먼트 관련 교과목을 중심으로 총 54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수학 및 계량적 학문의 배경 지식이 있거나 금융공학 / 퀀트 분야 전문가가 되기 위해 수리나 계량에 집중된 교육을 희망하는 경우에 추천할 수 있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 수료 후 Quantitative Asset Management, 파상상품 개발, 위험관리 등의 분야로 진출합니다.

 

 

 

카이스트 금융공학 석사 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내 최고의 금융공학 / 계량적 자산운용 (Quant) 분야 교수진

-                       금융공학 관련 15학점 필수 과목 지정으로 강화된 전문 역량 배양

-                       논문 작성을 통해 현장에 적용 가능한 분석능력과 연구능력 배양

-                       한국어 강의 기본, 어학교육은 별도 실시(전문가 활용)

-                       세계 금융분야 유수 대학들과 복수학위제 운영

-                       연수프로그램 (Global Study Programs) 필수(2학년 1학기)

-                       국내 최대 규모의 금융 실습 시설 및 정보데이터 보유: 로이터 트레이딩 센터, KOSCOM 금융정보센터

-                       KAIST 학생투자펀드(KSIF) 통해 연구와 병행된 투자 실습 기회 제공

s   국내 최초 학생투자펀드로 10억원의 투자자금을 학생들이 직접 운용

s   투자전략 개발과 트레이딩 등 자산운용의 모든 핵심 과정을 직접 수행

 

 

 

금융공학석사 과정의 학생들은 자신의 경력 목표에 맞추어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Concentration, 즉 심화과정을 선택할 수 있는데 다음의 분야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파생상품

 - 자산운용

 - 채권 통화 파생상품

 - 위험관리

 - 녹색금융

 - 녹색정책

 - 금융애널리틱스 (봄학기 입학 및 이수 가능)

 

 

 

커리큘럼은 공통필수 3학점, 전공필수 16.5학점, 선택에서 25.5학점, 연구에서 9학점 이상으로 총 54학점을 이수해야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대학원에서 지정한 BUS900 단위의 영어교과목을 2과목 이상 이수해야 하는 조건이 있으며, OPI Test에서 S레벨 이상의 평가를 받은 대상자는 이른 면제하고 있습니다. 봄학기 입학생을 위한 학업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1st YEAR

Pre-Course

여름

가을

입학전 (1)

2~5

6~8

9~12

오리엔테이션 및 사전교육 (2주간, 일정 별도 안내)

·         전반학기 (1~8)

·         후반학기 (9~16)

여름학기(8) 수강가능

·         전반학기 (1~8)

·         후반학기 (9~16)

2nd YEAR

겨울 ~

여름

가을

1~5

6~8

9~12

국제화 교육 (해외연수/복수학위) 아래 대학 중 택1

·         미국: OSU, UIUC, UMD, UOR, UT

·         영국: CASS

여름학기(8) 수강가능

·         전반학기 (1~8)

·         후반학기(9~16)

 

 

봄학기 입학생 기준으로 복수학위를 City University LondonCASS 비즈니스 스쿨, Michigan State UniversityEli 비즈니스 스쿨, University of Maryland Robert H. Smith 비즈니스 스쿨에서 취득할 수 있습니다. 처음 1년은 카이스트 경영대학에서 수학한 후 그 다음 해에는 위에서 언급한 비즈니스 스쿨에서 정해진 과목을 이수하거나 학위 논문을 쓰면 두 개의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경영대학의 국제협력센터를 통한 글로벌 Immersion 프로그램, Globalization Lecture Forum, Global Skills Workshop,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Classes 등의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모든 학생들이 3학기 차에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의 해외 유수대학에서 수업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갖습니다. 이 해외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국제적인 감각과 다양한 학문적 이론을 접한 기회를 접합니다.

 

 

 

2021학년도 금융공학 석사과정의 봄학기 입학은 다음의 전형 일정에 따라 진행되므로 입학신청을 희망한다면, 아래의 일정을 참고해서 철저히 서류 및 인터뷰 준비를 하시기 바랍니다.

- 원서접수 : 2020107~ 10 1917:00

 - 서류제출기한 : 2020102118:00까지

 - 제출서류 도착확인 : 2020107~ 1026

 - 서류심사 합격자발표 : 2020111214:0 이후

 - 면접전형 : 20201113~ 1119

 - 최종합격자 발표 : 202012314: 00 이후

 

 

 

서류 심사에는 영어 성적이 포함되며, 제출 서류를 중심으로 장차 전문경영인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지 잠재력 및 장래성을 평가하게 됩니다. 지원자는 다음의 서류를 전부 또는 일부를 우수성의 입증자료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 경력증명서, 발표된 논문, 특허 및 지적재산권 사본, 각종 수상 증빙서류, 전공 관련 작품이나 입증 자료, GMAT or GRE 성적 등

 

 

 

면접 심사에서는 지원자의 전문성 및 인성 등을 평가하며, 일정 및 장소는 합격자 발표 시에 카이스트 입시시스템을 통하여 공지하고 있으니 개별 확인이 필요합니다.

 

 

 

KAISTMFE과정은 확대 발전된 국내 최초이자 최고의 금융공학 프로그램입니다. 그리고, 연구능력과 국제 경쟁력을 갖춘 금융공학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이 과정의 핵심입니다.

 

 

 

카이스트 금융공학 석사 과정에 지원을 희망하신다면, 언제든 반달곰 원장에게 연락주시고, 필요한 도움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상담은 소정의 상담료가 있으니 이점 미리 양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