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MBA/연세·카이스트·성균관·국내MBA

[카이스트MBA] 카이스트 사회적기업가 KAIST Social Entrepreneurship SE MBA 2020년 입학지원일정/학비/입학조건 및 입학수속 컨설팅 안내

반달곰원장/자유영혼 2020. 4. 1. 18:12

2019년 5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장때 요트를 타고 와인을 마시며 투어를 즐기고 있는 반달곰원장. 이런 시절이 꿈만 같습니다. 





KAIST College of Business – SE MBA





 


안녕하세요. 반달곰 원장입니다.




최근 카이스트 경영대학의 MBA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는데요. 카이스트에서 제공하는 파이낸스, 정보미디어, 테크노 MBA에 이어 오늘은 사회적 기업가 MBA란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줄여서 SE MBA라고 불리는 과정입니다.

 



카이스트의 사회적 기업가 양성을 위한 주간 프로그램은 2년 과정입니다. SK 그룹과 KAIST 경영대학이 협력으로 2013년에 신설한 과정으로 지속가능한 사회적 기업 사업 모델을 발굴하고 구체화하여 이를 창업과 성공적인 경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사회적 기업가를 양성하는 게 목표인 과정입니다.




경영 능력을 갖춘 사회적 기업가 양성 전문 프로그램으로 커리큘럼은 사회적 기업의 이론과 실제가 결합되어 있으며, 경영자로서의 기본 경영지식 및 SE 관련 전문 역량을 축적하게 됩니다. 글로벌 사회적 기업 현장과 연계하는 프로그램으로 KAIST 경영대학 산하의 SK 사회적 기업가 센터와 연계 운영되고 있습니다. 사회적 기업가 교육 및 학술 활동을 지원하며, 혁신적인 사회적 기업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창업 지원 및 멘토링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국내외 SE 관련 네트워킹 활동 및 지식을 공유하며, 사무공간 및 창원 지원금 역시 제공받게 됩니다. 사회적 기업가 MBA의 커리큘럼은 48학점을 이수해야 하는 공통필수, 전공필수(경영 및 SE), 선택과목 및 연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교과구분

여름

가을

1년차

공통필수

윤리 및 안전 1AU

전공필수-경영

·         리더십과 조직관리 (3) 또는 마케팅 (3)

·         기업재무정책 (3) 또는 공급사슬관리 (3)

전공필수-SE

·         소셜벤처 린스타트업 (3)

·         소셜이슈분석과 미션수립 (3)

·         사회적기업가정신 (3)

·         소셜벤처 시장조사 및 비즈니스 개발 (1.5)

·         소셜벤처 아이디어 창출 방법론 (1.5)

·         소셜벤처 사업모형 (3)

·         소셜벤처 고객문제 및 솔루션 검증 (3)

선택

·         사회적기업 특수논제Ⅲ (1.5)

·         기타 경영대학 개설과목

·         사회적기업 현장연수 (2)

·         경영통계분석 (3) – 공통필수 대체

연구

·         사회적기업 세미나 (1.5) )

2년차

전공필수-경영

·         재무회계 (3) 또는 경영정보시스템 (3)

·         전략경영 (3) 또는 경영경제학 (3)

전공필수-SE

·         소셜벤처 제품 및 서비스 검증 (3)

·         소셜벤처 조직 및 성장전략 (1.5)

선택

·         사회적기업 특수논제Ⅲ (1.5)

·         기타 경영대학 개설 과목

연구

·         소셜벤처 사업화연구 (1.5)

 



SEMBA 에는 SAVE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는 Social Aspiring Venture Engine 란 뜻으로 스타트업에 필요한 창업 초기 자금 투자 및 컨설팅을 제공하고, 맞춤형 멘토링과 사무공간, 법률과 회계 업무 등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고, 시장 조사 및 파일럿 테스트를 지원합니다. 그리고, 사회적 가치 측정 평가 및 기술 사업화도 이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하고 있습니다.



 

해외 연수 기회로 2019년에는 실리콘 밸리 사회기업가 프로그램으로 약 5일간 산호세주립대학교에서 열리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습니다. 이전에는 영국 캠브리지 대학, 쉐필드 대학, 미국 산타클라라 대학 등에서 열리는 단기 프로그램에 참여했는데요. 학생들은 해외에서 열리는 워크숍이나 단기 프로그램에 참여해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폭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접하게 됩니다




1년차 여름학기 또는 겨울학기에 해외 사회적 기업 현장에서 지역 이슈 해결 과정에 참여하거나 SE 창업 교육 워크숍을 진행하는 창업 역량 강화 집중 해외 현장 연수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사회적 기업을 창업하는데 있어 필요한 현장 경험과 지식을 협업을 통해 학습하고, 사회적 기업가 정신 고양 및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입니다. 해외 현장 연수 비용에는 교육 경비, 항공료와 숙박 비용이 있는데, 이는 카이스트와 행복나눔재단에서 신청 시 지원하고 있고, 그 이외의 개인 경비는 본인이 부담하게 됩니다.



 

2020년도 경영대학 사회적 기업가 MBA 학생들의 평균 경력은 33개월로 경력이 없는 학생도 29%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학생들 중 창업을 해 본 학생이 53%, 창업을 준비 중인 학생은 47%로 이 과정에 진학 시 수업 펠로우로부터도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창업 지원의 경우 SK 사회적 기업가 센터에서 카이스트 이 과정의 학생들의 사회적 기업 창업을 지원하고, 사회적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육성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사회적 기업 창업과정에 있어 사업모델 확립 및 사업모델 확장을 위한 자금 지원도 제공합니다.



 

카이스트 사회적 기업가 MBA의 지원 자격은 사회적 기업 창업을 계획하고 있거나 또는 이미 창업해서 활동하고 있는 분이나, 기업, 정무, 비영리 조직 등의 스폰서십을 받아 MBA 과정 이후 사회적 기업 관련 업무를 하고자 하는 분은 누구나 지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학사 이상 졸업 및 공인영어 성적으로 IELTS 6.5 혹은 TOEIC 720, TOEFL 83점 이상의 점수를 갖춰야 합니다. 사회적 기업 창업 경험이나 활동 경험이 많지 않아도 위 요건을 갖추고 관심 있어하는 사회적 이슈가 있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의지와 아이디어가 있으면, 누구나 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입학은 봄학기에 가능하며, 가을학기 입학 과정은 없습니다.




이 과정은 100% 영어 강의가 아닙니다. 경영 필수 8개 과목 중 2개의 과목 이상을 영어 강의로 이수해야 졸업 이수 요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2021년 봄학기 MBA 과정에 대한 입학 전형 일정은 아직 미공개로 작년의 일정을 아래와 같이 참고해서 감안해 보시기 바랍니다.

- 원서접수 : 2019/10/02 ~ 10/14

 - 서류제출기한 : 2019/10/16 18:00까지

 - 1단계 서류 심사 합격자 발표 : 2019/11/07 14:00 이후

 - 면접전형 : 2019/11/08 ~ 11/14

 - 최종 합격자발표 : 2019/11/28 14:00 이후

 



사회적 기업 창업을 고민하고 계신 분이라면, 이보다 더 적합한 MBA과정은 없을 듯합니다. 카이스트 SE MBA에 입학 신청에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언제든 MBA 전문가인 반달곰 원장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상담은 소정의 상담료가 있으니 이점 미리 양해 부탁드립니다.